Information
경영관리의 어려움 TSP가 해결합니다.
Information
231
TSP's Story [3편]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Digital transformation(줄임말로 DT 또는 DX로 사용)은 무엇인가? 우선,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디지털 변혁' 정도가 될 것 같다.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많은 연구, 그에 따른 다양한 정의의 존재가 digital transformation의 의미에 혼선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어떤 사람들은 'digital transformation'을 디지털 고객이 기대하고 있는 것과 현재 아날로그 기업이 실제 제공하는 것과의 간극을 메우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Korn Ferry사의 디지털 자문역인 Melissa Swift는 '누군가에게 '디지털'이라고 하면 어떤 이들은 종이서류가 없어지는세상으로, 어떤 이들은 데이터 분석이나 인공지능으로, 또 어떤 사람들은 민첩한 팀을, 그리고 또 어떤 이들은 개방형 사무실 (opn-plan office)을떠 올린다'고 말한다.
2020.12.09
2334
230
TSP's Story [2편]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igital Transformation; DT 혹은 DX)이라는 용어가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른 것은 그리 오랜전의 일이 아니다.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이라는 단어가 사회의 대변혁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혁명은 이미 비즈니스 영역을 포함하여 우리 사회곳곳에 커다란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Digital Transformation'이란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새롭게 발전하는 디지털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혹은매뉴얼 프로세스를 디지털 프로세스로 변환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Digital Transformation'이 주목받는 이유는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향상이나 기존의 방법을 지원하고 강화하는 것만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혁신과 창의성을 가능케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Digital Transformation'은단순히 '서류 없애기'혹은 개별 기업의 '디지털화로 사업전환'하는 것 이상으로 정부, 매스컴, 예능, 의료, 과학 분야 등 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미치는 요인이 되었다.
2020.11.26
2389
229
TSP's Story [1편] - Gig Economy, Gig Worker의 시대
긱(Gig)이란 용어는 '한시적인 일', 또는 필요에 의해 정규직 대신 임시적으로 노동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긱 이코노미'란 필요에 따라 기업들이 단기 계약직이나 임시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형태의 경제를 설명하는 용어이다.'긱 워커'는 최근에는 플랫폼 노동자라 불리우는 쿠팡플랙스, 우버, 배달의 민족 등 공유경제 개념과 IT기술이 접목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시장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2020.11.11
9539
228
포스트코로나 [4편] - 위기의 시대, 중소기업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위기관리를 위해 몇몇 기업은 포괄적인 위기관리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보인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기업들은 창업역사가 비교적 오래되고직원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미 다양한 위기를 경험하기도 하였고 나아가 정부 규제를 더 많이 받는 기업들이었다는 것이 흥미롭다.그만큼 과거의 위기로부터 터즉한 경험과 실전 지식을 위기관리전략 개발에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기업들은 코로나 19 확산 이후 4개월 만에 의미 있는 회복세를 보인 것도 큰 특징이다. 그러나 시장에서 충분한 입지를 구축해 놓지 못한 데다가 자원도 부족하고 위기감또한 미흡한 기업일수록 공식적인 위기관리 계획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0.10.21
2398
227
포스트코로나 [3편] - 중소기업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1)
기업 차원에서도 예측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기에 불요불급한 비용을 제외하고 일상적인 경비지출을 최대한 통제하고 있다.하지만 현재의 상황이 지속된다면 결국은 인적차원 감원을 통한 구조조정에 돌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2020.10.21
2354
226
포스트코로나 [2편] -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우리나라에 대한 이미지는 그동안 '한강의 기적'과 '한류'문화로 압축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번 한국의 모범적인 방역활동이 전 세계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일깨워 준 것이다. 세계적인 위기가 가져온 이번 기회는 철저한 역학 추적관리를 통한 '모범 방역국', 도시와 지역사회 봉쇄 없는'투명하고 민주적인 국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안전한 나라'라는 이미지를 더욱 굳게 만들었다.
2020.10.15
2475
225
포스트코로나 [1편] - 우리 경제와 삶의 변화
외출을 자제하는 '집콕'문화의 확대로 온라인 공연전시관람, 스트리밍 서비스 영화 감상 같은 홈엔터네인먼트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한다.한편 사회적 거리두기의 반작용으로 선택의 자유와 직접 체험에 대한 욕구가 커짐으로써 개인 맞춤형 체험을 증시하는 소비가 강화될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다다익선과 같은 양적 맥시멀리즘(Maximalism) 대신, 질적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가치가 정착하게될 것으로 보인다.
2020.10.15
2400
224
기업가의 리더쉽 [2편] - BLACK SWAN
1. 급변하는 외부환경의 면밀한 관찰을 통해 기회요인 및 위협요인을 신속히 식별할 것2. 내부 변화의 긴급성을 설득하기 위해 현 비상시국의 의미를 직원들에게 해석해 줄 것3. 현상을 타파할 창의적 아이디어 획득을 위해 경쟁사 및 외부기업들의 움직임을 주시할 것4. 직원들을 흥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 새로운 희망을 제시할 것5. 문제나 기회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해 볼 수 있도록 직원들을 독려할 것6.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참신한 전략을 개발할 것
2020.10.07
2416
223
기업가의 리더쉽 [1편] - 미래의 새로운 동인을 찾는 리더!
기업가가 해야 할 올바른 그 무엇은 곧 '목표'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은 걱정거리가 없는 기업일지라도 다가오는 미래를 대비하여 새로운 사업아이디어를찾아 회사를 계속 성장시켜 나가야 한다. 그런데 이 일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걱정만 한다고 해결될 일도 아니다. 불확실성이 커져만 가는 시대에 중소규모의기업일수록 그러할 가능성이 더 크다. 그러한 점에서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인을 포착하는 것이 경영자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2020.10.07
2416
경영관리의 어려움 지금 바로 TSP와 상담하세요.
온라인 상담신청